자금관리는 기분대로 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충분히 알아보고 검토해야 한다.
수익성보다 안정성을 먼저 고려할 것을 권장한다.
1.재무설계 전문가의 조언을 귀담아둔다
돈과 관련된 문제는 재무설계 전문가의 지식과 경험을 참고로 판단하는 것이 실수를 줄이는 길이다.
2. 가정의 화목, 큰 돈을 아끼는 길이다
금전 문제는 부부간의 정보 공유가 특히 중요하다. 부부 또는 가족이 알지 못하는 빚을 털어놓고 함께 고민하도록 한다. 함께 고민하는 가운데 해결책도 나오고 가족간의 애정도 쌓아갈 수 있다. 그러나 그보다는 빚을 지지 않는 것이 최선이다.
3. 되도록 자녀교육 목적으로 빚을 지지 않는다
자녀를 위한 교육비 지출은 자녀의 재산이지 부모의 재산은 아니다. 따라서 자신의 재산범위 내에서 자녀교육을 하는 것이 가정교육에 더 효과적이다.
4. 어려서부터 돈의 소중함에 대해 교육을 해야 한다
자본주의 사회에서 필요한 돈을 쓰고 벌고 배울 수 있게 하는 것도 진정한 교육이다. 특히 돈과 관련된 금융교육은 어릴 때가 가장 좋다.
5. 부모들의 노후자금에 대해서는 분명히 선을 그어야 한다
생전에 유산을 넘겨주려면 노후생활 자금은 충분히 빼고 줘야 한다. 자신의 노후생활을 충분히 고려하고 양로원이나 기타 경비까지 확보한 뒤 여력이 있을 때 증여하는 것이 좋다.
6. 자녀에게 물려주겠다는 생각에 너무 집착하지 않는다
자녀들에게 많은 재산을 물려주게 되면 자칫 자녀들이 생산적 삶을 사는 데 장애가 될 수도 있다. 또한 부모에 대한 쓸데없는 기대감은 자녀의 경쟁력을 약화시켜 결국은 홀로 서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자금관리는 자녀들이 알지 못하게 별도로 하는 것이 좋으며, 자녀에게 물려주는 재산에 대해서는 나름대로 한계를 분명히 해야 한다.
7. 습관적인 지출을 중단한다
빚의 고리는 습관으로 연결된다. 돈을 꼼꼼하게 관리해야 가족을 사랑할 수 있다.
8. 빚의 내용을 빠짐없이 기록하고 우선적으로 갚아나간다
지금 현재의 빚을 빠짐없이 기록하여 갚아나갈 계획을 세워본다. 그리고 이를 불필요한 소비를 줄이는 도구로 활용한다.
9. 자기점검을 하고 구체적인 목표를 수립한다
자신의 생활태도를 점검하고 수입과 지출의 구체적인 종류와 금액을 기록하도록 한다. 계획적인 생활이 부유한 가정을 만든다.
10. 직장의 소중함을 기억한다
직장은 가족을 돌보기 위해 일하는 곳이며 삶의 기회를 주는 터전이라는 것을 다시 한 번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 즉, 한순간의 돈벌이보다는 꾸준히 현금을 창출할 수 있는 곳이 바로 직장이다.
'생활정보 > 가슴에 새기는 글'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귀한 입으로 좋은 말 만 하겠습니다 (0) | 2017.10.10 |
---|---|
부부예절 (夫婦禮節) (0) | 2017.09.25 |
지금 연인들에게 꼭 하고 싶은 부탁... (0) | 2017.09.04 |
돈으로 살 수 없는것 (0) | 2017.09.04 |
청산은 나를 보고 말없이 살라하고 (0) | 2017.08.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