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발 사러 가는 날 길에 보이는 건 모두 신발 뿐이다.
길가는 모든 사람들의 신발만 눈에 들어온다.
사람 모습은 안중에도 없다.
그런가 하면 그 반대 경우도 있다.
근처 열쇠집이 어디냐고 물어오면 나는 갑자기 멍해진다.
어디서 본 듯도 한데 도무지 생각이 나질 않는다.
바로 회사 앞에 있는 그 열쇠집을 아침 저녁 지나다니면서도
도대체 기억 속에는 남아있질 않는 것이다.
마치 그 집은 이 세상에 존재하지 않는 거나 다름없다.
사실이 그렇다.
세상은 내 마음 끌리는 대로 있기 때문이다.
조화도 그게 가짜인줄 알 때까진 진짜 꽃이다.
빌려 온 가짜 진주 목걸이를 잃어버리고는
그걸 진짜로 갚으려고 평생을 고생한
모파상의 어느 여인의 이야기도 이에서 비롯된다.
세상은 내가 보는 대로 있기 때문이다.
세상은 있다고 또 다 보이는 것도 아니다.
있는게 다 보인다면 내 대뇌 중추는
너무 많은 자극의 홍수에 빠져 착란에 빠지게 될 꺼다.
그러기에 대뇌는 많은 자극중에
몇 가지만을 선택적으로 받아들인다.
선택의 기준은 그때 그때의 대뇌의 튠(TUNE)에 따라 달라진다.
정말 그 모든 걸 다 받아들여지게 된다면
나같이 머리 나쁜 사람은 어쩌란 말인가,
세상은 이처럼 공평한 것이다.
신나게 기분좋은 아침엔
날마다 다니는 출근길도 더 넓고 명랑해 보인다.
그래서 휘파람이라도 절로 나오는 튠이 될 땐
슬픈 것들은 아예 눈에도 귀에도 들어오질 않는다.
그러기에 내가 웃으면 세상이 웃는다고 하지 않던가...
세상은 우리가 보는 것만 보인다.
해변에 사는 사람에겐 바다가 보이지 않는다.
그러나 어느저녘, 문득 바라다본 수평선에 저녁달이 뜨는 순간,
아 ∼ 그때서야 아름다운 바다의 신비에 취하게 될 것이다.
세상은 내가 느끼는 것만이 보이고, 또 보이는 것만이 존재한다.
우린 너무나 많은 것들을 그냥 지나치고 있다.
느끼질 못하고 보지 못하기 때문이다.
하늘이, 별이, 저녁놀이
날이면 날마다 저리도 찬란히 열려 있는데도
우리는 그냥 지나쳐 버린다.
대신 우린 너무 슬픈 것들만 보고 살고 있다.
너무 언짢은 것들만 보고 살고 있다.
그리고 속이 상하다 못해 좌절하고 자포자기까지 한다.
희망도 없는 그저 캄캄한 날들만 지켜보고 있다.
하지만 세상이 원래 어려운 것은 아니다.
어렵게 보기 때문에 어렵다.
그렇다고 물론 쉬운것도 아니다.
우리가 어떻게 보느냐에 따라 달라진다.
반 컵의 물은 반이 빈 듯 보이기도 하고 반이 찬 듯 보인다.
비었다고 울든지, 찼다고 웃든지, 그건 자신의 자유요 책임이다.
다만 세상은 내가 보는 것만이 존재하고
또 보는 대로 있다는 사실만은 명심해야겠다.
내가 보고 싶은 대로 존재하는 세상이 그래서 좋다.
비바람 치는 캄캄한 날에도 저 시커먼 먹구름장을
꿰뚫어 볼 수 있는 여유의 눈이 있다면,
그 위엔 찬란한 태양이 빛나는 가을 하늘의 푸르름이 보일 것이다.
세상은 보는 대로 보인다.
어떻게 보느냐, 그것은 자신의 책임이다.
'생활정보 > 가슴에 새기는 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자의 삶과 인생관 (0) | 2017.12.01 |
---|---|
흔들리면서 살아도 괜찮습니다 - 롱펠로우 인생 예찬 (0) | 2017.11.01 |
고개를 숙이면 부딪히는 법이 없습니다 (0) | 2017.10.27 |
이별한 그대를 위하여.. 상대를 잊기 위해.. (0) | 2017.10.26 |
행복한 결혼생활을 위해 마음에 새기는 글 (0) | 2017.10.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