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현명한 직장생활/경영과 경제

직장인 재테크 훈련 태릉선수촌은 국가대표 선수들이 국제대회에 참가하기 전에 틈틈이 훈련을 하면서 실전에 대비하는 종합훈련장이다. 재테크에 있어서도 태릉선수촌처럼 일반인들이 체계적으로 공부하고 훈련할 장소를 만들어 보는 건 어떨까 종종 생각해 볼 때가 있다. 여건상 당장은 곤란하겠고 이 다음에 재테크 훈련장이 만들어질 때까지 각자가 혼자서도 할 수 있는 재테크 경쟁력 쌓는 훈련법을 알아보도록 하자. 우선 재테크를 세 가지로 크게 구분을 짓자. 경제·금융상품(주식투자 포함)·부동산으로 나누고 각 카테고리로 단계별로 평소부터 혼자서 훈련할 수 있는 계획을 세워서 실천하는 훈련법을 소개한다. ◆경제 바로알기 단계별 훈련법 1단계 : 경제 관련 도서 정독하기(2∼3번 읽기) 2단계 : 신문의 경제 관련 기사 스크랩하고 꾸준히 읽을 .. 더보기
매출 및 수지 예측 방법 수지 예측분석표 단위: 만원항 목창업시창업 6개월후매 출 1매출원가 2경비점포유지비임대료관리비수도광열비통신비수선유지비인건비급료 및 수당상여금복리후생비영업비용교제비교통비운송비 외금융비용차입금 이자리스, 렌탈료용품대소모품,사무용품기타비용보험료광고홍보비잡비합계 3이익 1 – 2 - 3 사업을 시작하기 전에 해당사업의 매출 및 수지 예측을 하는 것은 쉬운 일은 아니다.하지만 투자대비 이익률을 계산하거나 점포권리금의 적정 여부 등을 판단하는데 활용할 수 있는유용한 데이터가 되기 때문에 점포사업을 시작하기 전에 반드시 점검해 봐야 할 과정이다. 매출 예측은 일반적으로 유통업 및 음식업, 서비스업으로 구별해아래와 같은 계산방식으로 개략적으로 추정해 볼 수 있다. 수지예측은 월 예상매출에서매출원가(유통업의 경우 상품구.. 더보기
Think Big, Act Small (크게 생각하고 작게 행동하기) Think Big, Act Small... '크게 생각하고 작게 행동하기'.기업이나 개인을 성공적으로 이끌어가기 위한 좋은 방법입니다. 저자는 소닉 드라이브인의 전 사장 팻테 부어에게 질문을 던졌습니다."소닉이 매년 두 자릿수의 매출과 순익 (성장률)을 올릴 수 있는 비결은 무엇입니까?" 그는 이렇게 답했습니다."아주 간단합니다. 우리는 '크게' 생각하고 '작게' 행동합니다.큰 기업이 크게 행동하면 어려움에 처하게 되지요." 기업이나 개인이 성장하려면 우선 '커다란 목표'가 있어야 합니다.업계를 뒤흔들 혁신, 나의 삶의 모습을 근본적으로 변화시킬 원대한 꿈.이는 '크게 생각하기'(Think Big)에서 나올 수 있습니다.하지만 여기서 끝이 아닙니다. 아무리 멋진 목표를 만들어냈다해도그것을 실제로 만들어내.. 더보기
팝스애드마케팅 - 사업성공 비결 5원칙 (1) 적당한 허풍을 친다 허풍을 치는 사람은 의욕적이다. 또 미래지향적이다.의욕적이고 미래지향적인 얘기를 하다보면 허풍을 치지 않을 수가 없다.아직 현실로 나타나지 않은 꿈을 다른 사람에게 설명하다보면 허풍을 치는 것처럼 보일 수밖에 없는 것이다. 꿈이 없는 사람은 미래가 없고 미래가 없는 사람은 허풍칠 게 없다.때문에 허풍을 치지 않는 사람은 미래에 성공을 거둘 수가 없는 것이다. 한 지하철역에 놓인 벤치에 이런 문구가 적혀 있다."항상 과거를 얘기하는 사람은 노년이고, 현재를 얘기하는 사람은 중년이고, 미래를 얘기하는 사람은 청년이다"라고. 아무리 젊은 사람이라도 과거에만 집착하면 그는 이미 늙은이인 것이다.60세가 넘어섰더라도 여전히 미래를 꿈꾸는 사람은 청년이고, 그는 이미 성공해있는 사람임에 .. 더보기
효과적인 퇴직관리 포인트 조직은 영원할 수 있어도 사람은 영원할 수 없다.회사 임직원들은 언젠가는 결국 퇴직하기 마련이다.개인과 조직이 모두 성공할 수 있는 효과적인 퇴직 관리 방안을인사전문가 팝스애드 김형찬대표와 함께 살펴보기로 한다. 퇴직이 신규 채용을 초과하고 있다. 우수 인재 채용이 중요하듯이, 필요 시 사람들을 내보내는 일.즉. 퇴직을 관리하는 것도 중요하다.퇴직관리, 퇴사관리가 경영 시스템의 한 요소이기 때문이기도 하지만, 요즈음 우리 기업들이 직면하는 환경 변화도 퇴직관리, 퇴사관리가 매우 중요해 지고 있음을 보여준다.우리나라의 노동 이동 현황을 보면 최근 들어 퇴직 및 해고 인력 수가 신규 채용 인력 수를 초과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우리나라 경제가 저성장에 들어선지 한참 되었고, 과거처럼 몸집을 키우기.. 더보기
병원 마케팅 - USP 포인트 여느 병원과 우리 병원은 어떤 점에서 다를까?거리에서 만나는 수 많은 병원 의원들, TV나 신문, 인터넷을 통해 소개되는 의사들과 다른 그 무엇이야말로 병원경영의 승패를 좌우하는 핵심이다. 마케팅 용어 중에는 USP(Unique Selling Proposition)란 말이 있다.굳이 해석하자면 '구별되는 판매 안' 쯤 되는 이말은 고객에게 전달되는 자신만의 차별적인 특징이다.USP는 단순히 상대적인 우위를 표현한다기 보다는 차별점을 부각하여 인지시킴으로써 선택의 기회를 만든다는 점에서 장점과는 구별된다. 실제로 USP는 CEO 시장에서 적극 활용되고 있다.짧은 슬로건이나 닉네임 등을 통해 자신의 USP 문구를 만들어 퍼스털 브랜드를 구축하는 사례를 종종 볼 수 있다.삼성 애버랜드의 허태학 (前)사장은 스.. 더보기
(필독) 성공한 사업가의 습관과 원칙 (1) 허풍을 친다.허풍을 치는 사람은 의욕적이다. 또 미래지향적이다.의욕적이고 미래지향적인 얘기를 하다보면 허풍을 치지 않을 수가 없다.아직 현실로 나타나지 않은 꿈을 다른 사람에게 설명하다보면 허풍을 치는 것처럼 보일 수밖에 없는 것이다.꿈이 없는 사람은 미래가 없고 미래가 없는 사람은 허풍칠 게 없다.때문에 허풍을 치지 않는 사람은 미래에 성공을 거둘 수가 없는 것이다.한 지하철역에 놓인 벤치에 이런 문구가 적혀 있다."항상 과거를 얘기하는 사람은 노년이고, 현재를 얘기하는 사람은 중년이고, 미래를 얘기하는 사람은 청년이다"라고.아무리 젊은 사람이라도 과거에만 집착하면 그는 이미 늙은이인 것이다.60세가 넘어섰더라도 여전히 미래를 꿈꾸는 사람은 청년이고, 그는 이미 성공해있는 사람임에 틀림이 없다... 더보기
팝스애드생각_영업직을 무시하지 마라 지난해 말, 대학생 2013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직업선호도 조사자료를 보면, 입사선호 1순위는 40%에 달하는 학생이 ‘공무원’이라고 답했다. 직업선호도 부동의 1위 자리는 몇 년째 ‘공무원’이 차지했다고 한다. 우리시대의 젊은이들이 이토록 공무원 시험에 열광하는 이유는 뭘까? 경제위기를 거치면서 너나없이 위험기피형, 안정희구형 스타일을 추구하는 사회적 현상으로 이해하기엔 씁쓸한 뒷맛을 느끼게 하는 통계이다. 대한민국의 밝은 미래를 위해 젊은이다운 참된 도전정신으로 비춰지기 보다는 안정 직업에 안주하려는 얄팍한 우리사회의 단면을 보는 것 같다. 14년째 마케터로서, 인사담당자로 활동하고 있는 필자의 가장 큰 고민은 인생 2막인 창업시장에서 실패율을 줄일 수 방법에 대한 고민이자, 성공창업을 위한 지름길 .. 더보기
서브웨이(Subway) 창립자가 말하는 사업성공 지침서 'Start Small, Finish Big' 라는 책에서 나온 내용 입니다. 저자는 Subway 샌드위치 체인점으로 성공한프레드 드루카(Fred DeLuca)의 사업성공을 위한 지침서 입니다. 1. 작게라도 시작해라. 그것은 전혀 시작하지 않는 것보다 낫다. 2. 푼돈부터 벌어라. 그것은 목돈을 벌기 위한 좋은 연습이다. 3. 생각을 해라. 좋은 아이디어는 당신 주변 가까이에 있다. 4. 비전을 가져라. 목표를 세우고 그 목표를 향해 늘 전진하라. 5. 신념을 가져라. 당신 자신과 사업 성공을 믿어라. 6. 목적을 위해 돌진하라. 생각만 한다면 아무것도 시작할 수 없다. 7. 판매를 증진 시키고 비용을 절감하라. 그렇지 않으면 당신 사업은 실패하고 말 것이다. 8. 긍정적으로 생각하라. 긍정적인 자세는.. 더보기
일본 수백 년 된 家業기업의 장수비결 인재교육이 바로 장수비결 버블경제 붕괴 이후 선진국을 중심으로 장수 기업들이 새롭게 조명받고 있다. 주목되는 점은 이들 장수 기업 대부분이 가업 경영을 하고 있다는 사실이다. 길게는 수천 년에서 짧게는 수백 년의 역사를 지닌 이들 기업은 조상인 창업자의 기업정신을 이어받아 명성을 이어가고 있다. 현재 일본에는 200년 이상 된 장수 기업이 2500여 개로 세계 전체의 40%에 달하고 있다. 그런데 이들 중 상당수는 가업 경영 기업이다. 특히 가업 경영 기업은 전문 경영인 기업보다 인재 교육방식이 남다르고, 실적도 우수한 것으로 나타나 눈길을 끌고 있다. 이익잉여금이 총 자산에서 차지하는 비율을 보면 도쿄증시 1부에 상장된 기업 상위 20개사 중 17개 사가 가업 경영 기업이다. 이런 현상은 비단 일본에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