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현명한 직장생활/잡학다식

커플링, 결혼반지의 의미 ‘반지’라 하면 제일 먼저 결혼반지와 커플링을 떠올리게 됩니다. 반지…….참 달달하고 아름답고 소중한 이름입니다.결혼반지와 커플링은 커플만이 낄 수 있는 특권입니다.즉, 난 혼자가 아니라는 말이지요……. 이 세상에서 어느 누구를 만나한 쌍이 되었다는 정표인 것입니다. 이런 사랑의 의미인 ‘반지’는 언제부터, 누가 시작했을까요?문득, 반지라는 단어의 뜻이 궁금했습니다. 반지(斑指)는 한문으로반 (斑: 두개를 나누었다는 의미의 반반)과지 (指: 손가락 지)를 합하여 반지라 부르며,이는 손가락에 하나씩 나누어 낀다는 의미라고 나와 있습니다. 우리나라의 사례를 통해서 본 결혼반지의 유래를 보자면,‘둥근 모양의 가락지’에서 유래 되었습니다. 가락지는 보통 2개가 한 쌍으로 이루어진 쌍가락지를 말하는 것이며,이것을.. 더보기
나이 호칭 알아두면 좋을 나이에 따른 각 호칭 100세上壽 (상수). 期年 (기년). 百壽 (백수). 期이之壽 (기이지수; 요양이 필요한 나이) 99세白壽 (백수) - 백 (百) 에서 일 (一) 을 빼면 백 (白), 즉 99세를 이름. 90세九旬 (구순). 九秩 (구질). 卒壽 (졸수) -「졸(卒)」을 초서로 쓰면 九와 十이 합쳐진 것과 같이 보여 90세를 이름. 88세米壽 (미수) - 米자를 풀어 쓰면 八十八(팔십팔)이 됨. 80세八旬 (팔순). 八秩 (팔질). 八질 (팔질). 傘壽 (산수) - 산(傘) 자는 초서로 쓰면 여덟 팔(八) 아래에 열 십(十)이 들어가 있어 만들어낸 말임. 77세喜壽 (희수) - 喜(희) 자를 초서로 쓰면 일곱 칠(七) 위에 하나, 아래에 두 개로 모두 세 개가 쓰이므로칠십칠(七十七).. 더보기
삼십육계 (三十六計) 우리는 삼십육계 줄행랑이라는 흔하게 접한다.하지만, 그것말고는 삼십육계에 대해 아는게 거의 없다. '삼십육계(三十六計)'는 중국의 고대 병법서 10권을 일컫는 무경십서(武經十書)중 하나이다.(참고: 중국의 7대 병법서인 '손자병법', '오자병법', '사마법', '울료자', '당리문대', '육도', '삼략' 등의 [무경칠서] 에'손빈병법', '장원', '삼십육계'를 합하여 [무경십서]라고 한다) 병법 36계는, 병법에 관한 36가지 계책에 대해 설명한다.계책의 예시가 되는 36가지 일화의 한자성어로 구성되어 있는데,총 6가지의 상황 분류에 각각 6가지의 계책을 제시하고 있기 때문에 36계이다. 36계 자체는 꽤 유명하지만 정작 각각의 계가 무슨 내용인지 상세하게 아는 사람은 거의 없다.더 정확히는 대중에게.. 더보기
나이로 보는 재미있는 기록들... * 1세 누구나 비슷하게 생겼다.* 2세 될 놈은 약간 이상한 기색을 보인다.* 3세 푸이, 중국 황제가 되다.* 4세 마이클잭슨 가수로 데뷔하다.* 5세 달라이 라마 티벳의 정신적 지도자가 되다. * 6세 이소룡 연기를 시작하다.* 7세 베토벤 무대에 서다.* 8세 편지를 쓸 수 있다.* 9세 파워레인저 장난감에 싫증을 낸다.* 10세 에디슨 과학실험실을 만들다. * 11세 할머니보다 키가 커진다.* 12세 로리타가 험버트를 만나다.* 13세 안네일기를 쓰기 시작. 벨게이츠 컴퓨터 프로그램을 시작하다.* 14세 줄리엣 로미오와 연애를 시작하다.* 15세 복녀 홀애비와 결혼하다. 펠레 프로축구선수로 첫 골을 넣다. * 16세 이몽룡, 성춘향과 연애를 시작하다. 아리스토텔레스 대학(아카데미)에 입학하다.*.. 더보기
자녀를 리더로 가르치는 말 교육법 " 자녀의 성공을 원하는 미국의 부모들은 예능교육보다 말하기 교육을 먼저 시킵니다. 세 살때부터 스피치 요령을 배우는 아이도 있는 걸요." 전문 인사위원이면서, 마케팅 전문기업 팝스애드를 운영하고 있는 김형찬대표는 ' 21세기 리더가 갖춰야 할 제1의 자질을 커뮤니케이션 능력'이라고 말한다.말하기 능력은 하루아침에 길러지지 않기 때문에 어렸을 때부터 가정에서 제대로 지도하는 것이 중요하기 때문이다. 팝스애드 김형찬대표가 조언하는 '자녀를 리더로 만드는 말 교육 10계명' 1.'미안하다', '감사하다'를 입에 달고 살도록 하라.말하기는 습관, 어렸을 때 버릇들이지 않으면 커서는 민망해서 못한다. 2.존댓말은 말 배울 때부터 가르치라.부모가 자녀에게 존댓말을 사용하면 아이도 따라 하게 마련. 3.남의 말을 .. 더보기
정의와 자유를 위하여_해병대 영상 표어_ROKMC ▶ 한 번 해병은 영원한 해병 ‘한 번 해병은 영원한 해병’ 표어는 미 해병대의 ‘Once a Marine, Always a Marine’에서 한국전쟁시 유래한 것으로, 한국 해병대가 57년간 사용해 온 우리의 것이다. 국가와 민족을 초월하여 자유 우방국가의 모든 해병대가 임무상 공감대를 형성하고 있음을 감안할 때, 평화의 선봉군으로 갖는 이 표어에 대한 긍지는 그 어느 것보다 크다고 하지 않을 수 없다. 또한 해병대의 특성을 대변하는 상징 문구로서 해병대의 일원으로서 자부심과 긍지, 명예심을 잊지 말라는 뜻으로 이것 이상으로 해병대 의식 구조를 대변할 수 있는 것은 없다. 1987년부터 ‘해병대 정신’의 표어로 사용되고 있는 이것은 현역·예비역은 물론 일반 국민들까지도 ‘해병대’하면 가장 먼저 떠올리는.. 더보기
국가전략기동부대 해병대 ROKMC - 전투결의 영상 대한민국 국가전략기동부대 해병대. 전략기동부대란 전쟁의 양상을 바꿀 수 있는 부대로서, 세계의 각 국가는 이러한 전략기동부대를 운용하고 있다. 우리나라에도 이런 부대가 있으니, 바로 '귀신잡는 해병대'로 유명한 해병대 이다. 싸움터 어느 곳에서나 영광을 쟁취하였던 해병대를 상징하는 ‘해병대 마크’ 는 해병대 조직의 정체성을 잘 나타내고 있다. 모표는 장·사병용으로 구분하여 장교용은 독수리와 별은 은색, 닻은 금색이며, 사병용은 전 부분을 금색으로 하여 구분하였다. 해병대 마크는 자신이 해병임을 항상 자랑스러워하면서 해병대에 대한 무한한 충성과 명예심의 표현이라 하겠다. 이는 군대의 위치를 알리고 장병의 사기를 북돋우며 군대의 명예와 단결을 상징하기 위한 군기(軍旗)인 해병대기 중앙에 새겨지며 제복의 어느.. 더보기
영어과외 고수되기 전에도 얼핏 봤지만 과외를 하면서 걱정 하시는 분들도 계신거 같아서 그냥 제 생각을 두서없이 적어봅니다. 1st stage. 과외구하기 a. 거의 인맥이 대부분입니다. 고액과외라고 해서 달라지는거 없습니다. 내가 하는과외가 30만원 짜리면 소개받는것도 30만원짜리고 50만원짜리 하고 있으면 50만원짜리 소개받습니다. b. 다음 커뮤니티에 가면 과외관련 까페가 많습니다. 그밖에 "학원강사모임"이나, "코피나게 공부하자" 등과 같은 자료와 정보를 구할수 있는 사이트들도 활용해보세요. c. 전단지 붙이는 방법 생각보다 효과가 적습니다. 만드시려면 아래 어떤분이 말한것처럼 다음까페에 가셔서 관련글을 읽어보세요. 참고로 제친구는 대학다시 갈것도 아니면서 수능시험접수해서 보고 나온 성적표를 전단지에 실었습니다. 전.. 더보기
스키마 (schema) 란? 스키마 (schema) 란 지식의 덩이로, 일반적인 절차, 대상, 지각 결과, 사건, 일련의 사건, 또는 사회적 상황을 표상한다 (Thorndyke, 1984). 스키마 이론이란 이러한 지식 덩이가 기억에 부호화되어, 경험을 이해하고 저장하는 데 이용된다고 전제하는 모형들의 집단을 일컫는 말이다. ...... 영국의 Bartlett 그리고 스위스의 Piaget 같은 심리학자들은 행동이 스키마로 조직된 지식의 커다란 단위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고 주장했다 ..... Bartlett (1932) 이 그의 저서 Remembering 에서 개발한 스키마 이론은 많은 최근 판 (버전) 스키마 이론의 활력소로 작용했다. 그는 스키마를 과거 경험의 적극적인 조직화로 정의하였다. 그는 이 조직화를 많은 구체적인 예를 표.. 더보기
유추프라카치아 유추프라카치아 결벽증이 강한 식물이랍니다... 누군가.. 혹은 지나가는 생물체가 조금이라도 몸체를 건드리면.. 그날로부터 시름 시름 앓아 결국엔 죽고 만다는 식물.. 결벽증이 강해 누구도 접근하기를 원하지 않는 것으로 알았던 식물.. 이 식물을 연구한 박사가 있었다는데... 이 식물에 대해 몇십년을 연구하고 또 그만큼 시들어 죽게 만들었답니다.. 결국 박사는... 이 식물이.. 어제 건드렸던 그 사람이 내일도 모레도 계속해서 건드려주면 죽지 않는 것을 알게 되었답니다. 한 없이 결백하다고 생각했던 이 식물은 오히려 한 없이 고독한 식물이 아니었나 생각됩니다. 우추프라카치아는 아프리카 깊은 밀림에서 공기중에 소량의 물과 햇빛으로만 사는 음지 식물과의 하나라고 하더군요 그 식물은 사람의 영혼을 갖고있다고도 .. 더보기